삶의 순간들

"세가지의 보배" 라는 뜻으로 우리 불교에서는 불보와 법보와 승보를 말합니다".

동진대성 2016. 12. 14. 22:27
728x90
●우리가 삼배를 하는 까닭은●

* 첫 번째 절은
오직 부처님을 공경하는 뜻이며,
* 두 번째 절은
법을 공경하는 뜻이며,
* 세 번째 절은
부처님의 제자이신 거룩한 스님을 공경하는 뜻입니다.


      ● 삼귀의(三歸依) 란 ●

* 귀의불 양족존(歸依佛 兩足尊)
지혜와 복덕이 구족하고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귀의법 이욕존(歸依法 離欲尊)
청정하고 미묘한 바른법에 귀의합니다.

* 귀의승 중중존(歸依僧 衆中尊)
위 없고 거룩한 승가에(스님)께 귀의합니다.

삼귀의례는 불문에 들어오는 제자들이 불, 법, 승 삼보전에 자기의 맹세를 표시하는 일종의 계(戒) 이며 삼보에 대한 예의를 갖추는 의식이다.


    ●사홍서원(四弘誓願)●

*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중생 가이 없지만 다 건지오리다.

*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번뇌 끝 없지만 다 끊으오리다.

*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법문이 한 없지만 다 배우오리다.

*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 불도가 위 없지만 다 이루오리다.

 
        ● 삼보(三寶) 란 ●

"세가지의 보배" 라는 뜻으로 우리 불교에서는 불보와 법보와 승보를 말합니다".

* 불보(佛寶)는,
우주의 본체이자 만유에 평등하고
진리의 화현이신 부처님을 뜻하며,

* 법보(法寶)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그 진리
자체를 뜻한다.

* 승보(僧寶)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제자들
즉 불법을 배우고 지키며 널리 전파하는 승단을 말한다.


      ● 삼독(三毒)이란 ●

탐(貪), 진(瞋), 치(痴)를 말하는 것으로서,
우리의 선근(善根)을 해치는 악(惡)의 근본이다.
모든 괴로움의 원인이 되는 세 가지 번뇌이기도하다.

* 탐(貪)이란,
탐욕, 애착, 갈애(渴愛), 갈망 등이 있다.
* 진(嗔)이란,
진애(瞋愛), 분노, 성냄 등이다.
* 치(痴)란,
어리석음, 무지(無智)등을 말한다.

***
귀하신 인연께서
오늘도
깨달음과 함께하는
하루이시기를 기도드립니다.~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부처님 고맙습니다.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