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대한민국 이야기

힐러리 클린턴, 버니 샌더스 등은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텍스트 기반 SNS 계정을 유지하면서도 최근 20~30대 청년층에서 유행하는 '스냅 챗'이나 인스타그램 등 사진과 동영상을 손쉽게 공유하.. 본문

삶의 순간들

힐러리 클린턴, 버니 샌더스 등은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텍스트 기반 SNS 계정을 유지하면서도 최근 20~30대 청년층에서 유행하는 '스냅 챗'이나 인스타그램 등 사진과 동영상을 손쉽게 공유하..

동진대성 2016. 12. 26. 10:22
728x90

미국 대선에서도 마찬가지다. 국내의 경우 지난 2014년 총선 당시, 스마트폰 보편화 뒤 첫 선거라면서 그때도 '스마트 선거'가 화두가 됐다.  

그러나 2년이 지난 지금은 또 다르다. 트위터의 지저귐이 당시보다 사그라들었듯 그새 디지털 환경은 또다시 급속도로 변했다. 과거 디지털 정치가 SNS로 '정책홍보' 등 보여주기식에 그쳤다면 이제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준비하는 등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 스마트폰, 가장 강력한 유권자 플랫폼…'빅데이터' 맞춤형 메시지로

힐러리 클린턴과 젭 부시는 스냅챗의 라이브 기능을 활용해 1억명의 사용자들의 표심잡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사진=힐러리 스냅챗 캡처)

최근 미국에서는 '스냅챗' 같은 이미지 기반 SNS가 주목받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버니 샌더스 등은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텍스트 기반 SNS 계정을 유지하면서도 최근 20~30대 청년층에서 유행하는 '스냅 챗'이나 인스타그램 등 사진과 동영상을 손쉽게 공유하는 이미지 기반 SNS에도 주력하고 있다. "몇 번 누군데, 정치를 바꿔보겠다, 뽑아달라"는 문자는 선거 공해만 일으킬 뿐이다. 이처럼 SNS가 정치 홍보나 소통 수단으로 주목받는다는 것은 스마트폰이 여전히 가장 강력한 '유권자 접촉 플랫폼'이라는 것을 뒷받침한다.  

아울러, 높아진 스마트폰 보급률도 공고한 정치적 플랫폼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2011년 미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35%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 68%로 두 배가량 급증했다.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접하는 시민들은 전체의 55%까지 상승했다. 4년 전까지만 해도 스마트폰은 젊은층만 공략하는 좁고 복잡한 수단이었지만, 이제는 중장년층에게도 접근이 더욱 수월해졌다. 



우리나라는 모바일 강국이라는 수식어답게 지난해 스마트폰 보급률이 88%를 기록, 글로벌 여론조사기관의 조사대상 40개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특히 18세에서 34세까지의 연령대에서 세계 유일하게 100%의 놀라운 스마트폰 보급률을 기록했다. 

스마트폰이 정치, 특히 선거에서 독보적 중요성을 갖게 된 것은 단연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다. 강력한 정보처리 능력과 위치기반 기술로 정치 성향이 확인된 개별 유권자에게 맞춤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 GPS 데이터를 통해 선거 당일 유권자들이 투표소에 들렀는지 아닌지를 파악해 시간대별로 투표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쏟아낼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은 당원과 일반 시민들의 정치 참여를 위한 모바일 앱 'On통So통(온통소통)'을 선보였다. (사진=새누리당 홍보 블로그 캡처)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이 괜히 4·13 총선을 앞두고 각각 '온통소통(on통so통)'과 '정감(정책과 공감)'이라는 앱을 통해 총선 공약 설계에 나선 게 아니다. 이들은 각 앱의 여론조사 및 정책수요기능 등을 통해 유권자 맞춤형 공약을 내놓겠다는 전략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의원들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플랫폼 정감을 구축했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모두 앱의 여론조사 및 정책수요기능 등을 통해 유권자 맞춤형 공약을 내놓겠다는 전략이다. (사진=더불어민주당 홍보 블로그 캡처)

또 국민의당도 구글을 이용한 모바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당명을 공모한 데 이어 온라인을 통해 정강·정책 마련에 나선다. 스마트폰의 대중화 속에 여야 모두 '디지털 정당' 전환 움직임이 일고 있다. 

◇ 전문가들 "독선과 아집 프레임으로 편향적 정보 전달, 조종 가능성"

"기후 변화를 이해하려고 노력 중이라면 도널드 트럼프에게 문의하지는 말라"는 말이 있다. 공화당 대선 후보인 트럼프는 2년 전 한 라디오 쇼에서 "누가 내게 뭔가를 증명해 줄 수 있기 전까지는 나는 '날씨가 있다'는 것만 믿는다"고 말했다. 기후 과학자 97%가 기후 변화는 인간의 행동 때문에 일어난다고 주장하는데도, 공화당 의원 56%는 이 자체를 부정한다고 미국의 한 매체는 보도했다. 보수층 일부는 기후 변화를 '사기'라고 부르기까지 했다.  

미국 보수진영은 프레임 짜기에 강하다. 오바마 대통령이 의료보험 개혁에 나설 때도 보수진영은 '저렴한(합리적) 의료보험'이라는 표현은 일절 쓰지 않았다. 대신 '오바마 케어'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주도한다는 프레임을 설정한 것이다. 조지 W 부시도 부자 감세정책을 추진하면서 '감세'라는 표현 대신 '세금(으로부터의) 구제'라는 프레임을 강조했다. 

멀리 미국까지 갈 것도 없다. 새해 벽두부터 국내 노동자들을 분노케한 정부의 '취업규칙변경요건 완화와 관련한 양대지침'에 대해 새누리당은 '공정인사'라는 프레임을 꺼냈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와 여당의 주장에 "쉬운 해고와 성과 강요, 임금 삭감 등 노동시장 개악"이고 "대규모 정리해고와 명예퇴직 강요 등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을 고용 불안정에 빠뜨리고 있다"며 거세게 저항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공정인사' 프레임은 '현저한 저성과자'라는 이름으로 사주 맘대로 해고할 수 있는 길을 터줬고, '사회 통념'이라는 모호한 기준으로 노조나 근로자 단체의 동의 없이도 노동자를 거리로 내몰 수 있게 됐다.  

전문가들이 요즘 대세가 된 '정치인들의 손끝 정치'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정치인 앱, 정당 앱은 보수, 진보 할 것 없이 자신의 입지와 정당에 유리한 이야기만 할 것이다. 또 자신의 주장을 실은 SNS나 유튜브 영상 등도 조그만 스마트폰을 타고 실시간으로, 또 전 세계적으로 얼마든지 전파가 가능하다.  

이들의 정보가 편향적이고 잘못됐더라도, 일단 손에서 울리는 스마트폰을 시민들은 곧바로 열어볼 것이고, 반응할 것이다. 받아들인 잘못된 정보를 수정하고, 다시 인지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MIT 정치경제학과 대런 아세모글루 교수가 정치인들이 스마트폰으로 유권자들을 접촉하는 현상에 대해 우려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는 "정치인들이 스마트폰으로 유권자와 소통하려는 것은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다"면서 "이들이 빅데이터를 기반한 선거 운동을 하더라도, 일부 정치인들은 편향적인 정보로 사람들의 생각을 조종하려 해도, 일반 유권자가 이에 대항할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대런 교수는 "개인이 정보를 습득하고, 사고하려 노력하는 데에 인센티브가 충분치 않아도 민주주의 사회가 성공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은, 민주주의가 개인의 무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라면서 "사람들의 무지는 계속되는데 정치인들이 특정 의도를 가지고 보편화된 스마트폰으로 일상 깊숙이 접근하면 민주주의는 껍데기만 남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에 대해 시민들에게도 스마트폰과 SNS를 하나의 돌파구로 보고 있다. ‘아랍의 봄’도 사람들의 생각이 SNS를 통해 공유되고, 그런 소통이 모여 혁명을 만들어 낸 것처럼 SNS가 사람들의 생각이 양극화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해 준다는 설명이다.

원문보기: 
http://www.nocutnews.co.kr/news/4557552#csidx3c0fd3f19f518d98c2cfe11118e884d 

Comments